이미 설문에 참여해주셨습니다.
You have already participated in the survey
연관 콘텐츠
■ ‘배터리 교환 스테이션’, ‘교환형 배터리 팩’ 부문 등 공인성적서 최초 획득
■ 정부 전기 이륜차 보급 및 확산, 시장 활성화 정책의 ‘필수조건’ 충족
■ LG에너지솔루션 “보조금 등 필수 조건 처음으로 갖춤으로써
미래 성장 가능성 높은 전기 이륜차 시장 경쟁력 향상 기대”
LG에너지솔루션이 국내 기업 중 처음으로 배터리 교환 스테이션(BSS·Battery Swapping Station) 보조금 지원 대상이 됐다. 환경부 등 정부가 추진 중인 전기 이륜차 보급사업 관련 표준 요건을 갖춘 ‘1호 기업’이 된 것이다.
31일 LG에너지솔루션은 ‘BSS(배터리 교환 스테이션)’, ‘전기 이륜차 교환형 배터리 팩’ 부문에서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KTC)이 발행하는 KS(국가표준) 공인성적서를 국내 최초로 획득했다고 밝혔다.
전기 이륜차 보급 및 확산, 배터리 구독형 서비스 시장 활성화를 위해 추진되고 있는 정부 지원 정책의 ‘필수 조건’을 갖춤으로써 보조금 혜택 등에 따른 효과 등을 기대할 수 있게 됐다.
실제 환경부는 지난달 17일 ‘2025년 전기이륜차 보급사업 보조금 업무처리지침’ 및 ‘2025년 전기이륜차 배터리 교환형 충전시설 설치 보조사업 운영지침’을 확정 발표하며 “국가 표준에 해당하지 않는 배터리 교환형 충전시설에는 설치비용을 미지원”한다고 밝힌 바 있다.
이번에 LG에너지솔루션이 획득한 KS 공인 인증 항목은 ▲전기·기계적 제원, 통신프로토콜, 성능·안정성·내구성 등 교환형 배터리 팩 ▲배터리 교환형 충전시설 등과 관련한 총 4건이다.
LG에너지솔루션 측은 “그동안 배터리 교환형 전기 이륜차 시장에서 제작사별 상이한 제품 및 기준에 따른 비효율은 시장 성장을 가로막는 고질적 문제로 꼽혀왔던 것이 사실”이라며 “국내 기업 중 처음으로 국가표준 요건을 획득함으로써 정부가 추진하는 표준화 시장 내에서 경쟁력을 한층 높일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국내 전기 이륜차 시장은 성장 가능성이 높은 시장으로 꼽힌다. 특히 코로나 팬데믹 시기 배달 문화가 확산하면서 내연기관 이륜차의 소음과 매연 등의 문제가 확산됐고 대기오염 감소, 소음 저감에 효과적인 전기 이륜차가 대안으로 부상했다.
한국전기이륜형자동차협회(KEMS)의 ‘2024년 이륜자동차 사용신고 현황’에 따르면, 현재 국내 내연기관 및 전기 이륜차 등록 대수는 약 220만 대, 2024년 한 해 등록 대수는 약 11만 대에 달한다. 또한 환경부의 ‘전기이륜차 및 배터리교환형 충전시설 보급 현황’에 따르면 배터리 교환형 전기 이륜차는 23년 1654대에서 24년 3429대로 2배 이상 증가했으며, 충전시설은 전국에만 총 1872기에 달한다.
환경부는 올해 전기 이륜차 2만대 보급을 목표로 구매보조금 총 160억 원을 지급하고, 충전시설 500기 설치 지원을 위해 50억 원을 지원할 예정이라고 밝힌 바 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이번 인증서 획득을 계기로 정부와 함께 국내 전기이륜차 교환형 배터리 시장의 활성화를 위해 노력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한국자동차연구원, 강원대학교와 국가표준기술력향상사업 연구개발과제 참여를 통해서 국제 ISO(국제표준화기구) 등 글로벌 시장에 KS 표준이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할 방침이다.
LG에너지솔루션의 배터리 교환 서비스 쿠루(KooRoo)는 현재 전국에 약 440여 기의 스테이션을 구축하고 있다. 향후 수도권 뿐만 아니라 부산, 대구, 대전, 광주 등 주요 광역시를 중심으로 전국적인 확장을 추진할 예정이다. 또한 배터리 관리 토탈 솔루션인 비.어라운드(B.around)를 통해 배터리가 전 생애주기 동안 안전하게 관리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이미 설문에 참여해주셨습니다.
You have already participated in the survey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자동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 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불법 대응 센터 http://www.spamcop.or.kr
배터리인사이드 뉴스레터 구독 신청
위탁받는자(수탁사) | 위탁하는 업무의 내용 |
---|---|
㈜아이파트너즈 | 뉴스레터 발송 |
스티비 주식회사 | 이메일 주소에 대한 관리 및 보안 뉴스레터 발송 및 관리 |
구분 | 소속 | 홈페이지 | 연락처 |
---|---|---|---|
개인정보 침해 신고 센터 | KISA 소속 | privacy.kisa.or.kr | (국번없이) 118 |
개인정보 분쟁조정위원회 | 사이버 범죄수사과 | www.kopico.go.kr | 1833-6972 |
사이버 범죄수사과 | 검찰청 소속 | www.spo.go.kr | (국번없이) 1301 |
사이버안전국 | 검찰청 소속 | cyberbureau.police.go.kr | (국번없이) 182 |
이 사이트는 쿠키를 사용합니다. 사이트 탐색을 계속하면 쿠키 사용에 동의하는 것입니다.
쿠키 운용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개인정보 처리 방침'을 읽어보십시오.